축구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스포츠이며, 아시아에서도 일본과 한국은 강력한 축구 국가로 손꼽힙니다. 특히 유소년 축구 시스템은 국가 대표팀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본의 유소년 축구 규모와 시스템을 살펴보고, 한국과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일본 유소년 축구의 규모
일본은 유소년 축구 인프라와 시스템이 매우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일본축구협회(JFA)에 등록된 유소년 축구선수(6세~18세)는 약 85만 명에 달합니다. 이 숫자는 전 세계적으로도 높은 편입니다.
• U-12(초등학생 이하): 약 35만 명
• U-15(중학생): 약 25만 명
• U-18(고등학생): 약 20만 명
• 여자 유소년 등록자: 전체의 약 10%로 꾸준히 증가 추세
일본은 유소년 축구 팀이 크게 클럽팀과 학교팀으로 나뉩니다. 클럽팀은 지역 축구클럽에 등록하여 전문 코칭을 받으며 활동하고, 학교팀은 주로 중학교, 고등학교 축구부에서 훈련합니다. 특히 클럽 시스템이 발달하여, “J리그 유스” 산하 클럽이나 지역 소속 클럽이 다양한 연령대별 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본 유소년 축구의 특징
• JFA 아카데미: 일본축구협회가 직접 운영하는 전국 4개(후쿠오카, 이와테, 후쿠시마, 오카야마) 아카데미가 존재하며, 엘리트 유소년을 체계적으로 육성합니다.
• J리그 유스팀: J리그 구단들은 프로 1군 외에도 U-18, U-15 팀을 보유해 일관된 육성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 대규모 대회: 매년 ‘전일본 유소년 축구대회(U-12)’나 ‘프린스리그(U-18)’ 같은 연령별 전국 대회가 열리며, 규모와 수준이 매우 높습니다.
• 생활 축구 보급: 엘리트 육성 외에도 동네 클럽을 통해 축구를 즐기는 아이들이 많아, 전체적인 축구 저변이 넓습니다.
⸻
한국 유소년 축구의 규모
한국도 전통적으로 축구에 강한 국가지만, 유소년 축구의 규모나 시스템은 일본과 다소 차이를 보입니다.
2024년 대한축구협회(KFA) 등록 기준으로 보면:
• 전체 유소년 선수: 약 15만 명
• U-12: 약 5만 명
• U-15: 약 6만 명
• U-18: 약 4만 명
• 여자 유소년: 전체의 2~3%로 아직 비중이 낮습니다.
한국 유소년 축구의 대부분은 학교 기반(초·중·고 축구부)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클럽팀 기반은 상대적으로 적고, 일부 지역에서는 클럽 축구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일본에 비해 규모가 작습니다.
한국 유소년 축구의 특징
• 엘리트 중심 구조: 전국대회나 승부에 초점을 맞춘 엘리트 시스템이 강합니다.
• 학교 시스템 의존: 대부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축구부를 통해 선수생활을 시작합니다.
• 클럽 시스템 확산 초기: 최근 K리그 산하 클럽들이 유스 시스템을 확대하고 있지만, J리그처럼 전면적이지는 않습니다.
• 학업 병행 어려움: 일부 선수들은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기 어려워 축구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이 배워야 할 점
일본은 축구를 “특별한 사람만 하는 스포츠”가 아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유소년 시기부터 다양한 레벨, 다양한 방식(학교, 클럽)을 통해 축구를 접할 수 있고, 경쟁에만 치우치지 않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반면, 한국은 엘리트 선수 양성에는 강하지만, 저변 확대와 생활 스포츠화가 아직 부족한 실정입니다. 앞으로 한국도:
• 클럽 축구 인프라 확충
• 여자 유소년 지원 확대
• 다양한 연령과 레벨을 위한 시스템 마련
• 학업과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이 필요합니다.
한국 축구가 세계 무대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소년 축구 시스템 개혁이 필수적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이트볼의 유래와 노인 복지 활동으로서의 가치, 그리고 미래 가능성 (3) | 2025.04.30 |
---|---|
일본 유소년 축구: 주요 대회 종류 (2) | 2025.04.29 |
"일본 쌀 부족, 한국 쌀 수출하면 돈벌이 될까? 현실 분석" (5) | 2025.04.27 |
일본 버스 여행이 인기 있는 이유 (6) | 2025.04.25 |
“Airbnb가 일본에서 인기 급상승한 이유와 장단점, 그리고 유래” (5)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