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새우깡 vs 에비센(えびせん) — 한국과 일본의 대표 새우과자, 무엇이 다를까?
한국에서는 "새우깡", 일본에서는 "에비센(えびせん)" 또는 "갓빠에비센(かっぱえびせん)"이라는 새우 과자가 국민 간식처럼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름만 들어도 침이 고일 만큼 익숙한 이 두 과자, 과연 무엇이 다르고, 어디가 먼저였을까요?
1. 새우깡과 에비센은 어떤 과자일까?
새우깡 (Saeu-kkang)
- 출시 연도: 1971년
- 제조사: 농심
- 특징: 국내 최초의 스낵형 과자. 국산 새우를 사용하고, 고소하고 짭짤한 맛이 특징. 뽀얀 쌀과자 형태에 새우 풍미가 살아있고,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맛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습니다.
- 이름 유래: '새우' + '깡' (사실 '깡'은 특정한 뜻 없이 리듬감 있는 단어로 채택된 이름입니다.)
갓빠에비센 (Kappa Ebisen)
- 출시 연도: 1964년
- 제조사: 칼비(Calbee, カルビー)
- 특징: 실제 새우와 밀가루를 혼합해 만든 과자로, 얇고 긴 막대형 모양이며 한 번 먹기 시작하면 손을 멈출 수 없다는 중독성 있는 맛으로 유명합니다.
- 이름 유래: '가っぱ'(かっぱ)는 일본의 요괴 이름이지만 당시 광고 마스코트 이름이었고, '에비센(えびせん)'은 '새우 전병(煎餅)'의 줄임말입니다.
2. 누가 먼저? 에비센이 원조!
칼비의 카っぱ에비센은 1964년에 출시되었고, 농심의 새우깡은 그보다 7년 뒤인 1971년에 탄생했습니다.
실제로 농심은 카っぱ에비센을 벤치마킹하여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새우 과자를 만들고자 했고, 그 결과물이 바로 ‘새우깡’입니다.
참고로 농심의 창립자 신춘호 회장은 일본 출장 중 에비센을 접한 뒤, 국산 새우를 활용한 스낵을 개발하기로 결심했다고 전해집니다.
3. 맛과 식감은 어떻게 다를까?
항목새우깡 (한국)에비센 (일본)
출시 연도 | 1971년 | 1964년 |
식감 | 바삭하고 가볍지만 단단한 편 | 부드럽고 바삭한 쌀과자 느낌 |
맛의 특징 | 진한 새우향, 약간 짭짤하고 고소함 | 새우향 은은, 감칠맛과 단맛이 조화 |
향신료 | 한국 스타일 간장/소금 풍미 | 일본식 다시(다시마/가쓰오) 느낌 |
4. 한국 vs 일본, 새우 과자 문화도 다르다?
- 한국: 새우깡은 어린이 과자에서 어른의 술안주까지 폭넓게 소비됩니다. 특히 '튀김우동'이나 맥주 안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 일본: 에비센은 다양한 맛(매운맛, 와사비맛, 유자맛 등)으로 출시되며 지역 한정 버전도 매우 많습니다. 그만큼 스낵 시장이 세분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5. 결론: 서로 닮았지만 각자의 길을 걷는 국민 과자
비슷한 새우 과자이지만, 출발점과 문화적 배경은 확연히 다릅니다. 에비센이 먼저였고, 새우깡은 이를 한국식으로 재해석한 결과물이죠.
이제는 각 나라의 정체성이 담긴 대표 간식으로, 세계 시장에서도 각자의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새우깡과 일본의 에비센은 단순한 스낵을 넘어, 두 나라 간 식품 문화의 차이와 교류의 흔적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다음에 새우깡을 먹을 때는, 그 속에 담긴 작은 문화사 한 페이지도 함께 음미해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어(うなぎ), 일본인의 보양식 문화 깊이 들여다보기" (6) | 2025.05.09 |
---|---|
“2025년 7월 5일 일본 대지진 예언, 사실일까? 과학과 소문의 경계에서 본 진실” (1) | 2025.05.09 |
“김밥의 원조는 일본? 후토마키와의 진짜 차이 알아보기” (7) | 2025.05.08 |
"카라아게 vs 한국식 치킨 – 일본에서의 생존 경쟁" (2) | 2025.05.08 |
“소바가 건강에 좋은 진짜 이유, 알고 계셨나요?” (4)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