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의 계약서 읽는 법과 주의사항

일본에서 생활하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계약서들 ― 특히 집 계약, 휴대폰, 인터넷 가입은 일본어가 익숙하지 않으면 헷갈릴 수 있어요.

 일본에서의 계약서 읽는 법과 주의사항

우선 기본 용어부터 알아두기

  • 契約(けいやく): 계약
  • 契約者(けいやくしゃ): 계약자
  • 期間(きかん): 기간
  • 更新(こうしん): 갱신
  • 解約(かいやく): 해지
  • 違約金(いやくきん): 위약금
  • 自動更新(じどうこうしん): 자동 갱신
  • 初期費用(しょきひよう): 초기 비용

 계약서는 사인하기 전에 꼭 전체 내용을 읽고, 이해 안 되는 부분은 문의하거나 통역 요청하는 것이 중요해요.


 집 계약할 때 체크포인트

1. 계약 기간

  • 대부분 2년 단위
  • 자동 갱신 여부, 갱신 수수료(보통 1개월분 집세) 확인

2. 보증금(敷金) / 사례금(礼金)

  • 敷金: 퇴거 시 일부 반환 가능 (청소비, 수리비 제외 후 반환)
  • 礼金: 집주인에게 드리는 사례금으로 보통 반환되지 않음

3. 원상복구(原状回復)

  • 계약 종료 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조건
  • 벽지, 바닥 등 수리비를 청구당할 수 있음
    → 계약서에 “원상복구 조건” 명시된 부분 확인 필수

4. 해지 통보 기간

  • 일반적으로 퇴거 1개월 전에는 통보해야 함
    → 갑자기 나오면 한 달 치 월세 추가로 부담 가능

5. 중개 수수료

  • 부동산 중개료: 보통 월세 1개월 + 세금

 휴대폰 계약 시 체크포인트

1. 계약 기간 및 위약금

  • 일부 통신사는 최소 2년 계약, 중도 해지 시 위약금 발생
    → 최근엔 위약금 없는 플랜도 증가 중

2. 요금제 (プラン)

  • 데이터 사용량, 통화 요금 등 상세 확인
  • 저렴한 SIM(格安SIM) 회사도 고려해볼 만함 (예: Rakuten, UQ mobile 등)

3. 단말기 할부 구매

  • 휴대폰을 할부로 구매하면, 중간 해지 시 잔금 일시 납부 필요
    → 요금제와 기기요금이 따로 청구되는지 확인

4. 신분증, 결제 정보 필요

  • 외국인등록증(재류카드), 은행계좌, 신용카드 등 필요

 인터넷 계약 시 체크포인트

1. 개통까지 걸리는 시간

  • 광랜(Fiber)는 보통 1~3주 소요 → 이사 전에 미리 신청 추천

2. 계약 기간 / 자동 갱신 여부

  • 대부분 2년 계약, 자동 갱신 많음 → 해지 시 타이밍 주의

3. 해지 시 위약금 및 철거비

  • 중도 해지 시 1만~2만엔 위약금 부과 가능
  • 장비 철거비 별도로 청구될 수 있음

4. 프로바이더 요금 포함 여부

  • 인터넷 요금 = 회선료 + 프로바이더료
    → 통합 요금인지, 따로 부과되는지 확인 필요

 계약서 확인 시 꿀팁

  • 어려운 용어가 있으면 사진 찍어서 번역앱 활용
  • 서명 전에는 계약서 복사본 요청 가능
  • 친구나 지인, 회사 직원에게 함께 봐달라고 요청해도 좋아요